지루할수 있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자신이 뭘 하는지 근본에 집중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모자란 실력이나마 정리해 올려보겠습니다.
나는 공부랑 담을 쌓고 살았고
그냥 돈버는 기술만 필요하긴 분은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광고학
광고이해의 기초.
광고의 정의
광고의 종류
광고계의 주요 등장인물
우선 광고의 정의부터 축약해보겠습니다.
광고는 영어와 라틴어에 기인하는데, 영어 advertising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우리가 흔히 ad라고 얘기하는 그 것이죠. 저는 여기서 좀 흥미로운 것을 봤습니다. 바로 라틴어 ad vertere 라는건데요. 이 뜻은 “마음을 어디로 향하게 한다” 라는 겁니다.
놀랍지 않으신가요? 수많은 광고학도들이 도배와 상위노출에만 목매고 있을 때(어쩌면 저를 포함한 그들은 광고학도가 아니라 네이버 기술자일 수 있겠습니다) 사실 근본적인 것은 바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었다는 겁니다.
마케팅의 구성요소.
그렇다면 이 잘나고도 어려운 마케팅. 구성 요소는 뭘까요?
흔히 포피라고 합니다. 티아라 – 포피포피포피압!
이 4p는 상품(product), 유통(place), 가격(price), 촉진(promotion)을 말하는데요.
상품을 조사하고 개발하여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유통시키며
상품에 대한 금전적 가치, 가격을 설정하고
소비자와 잠재적 소비자 집단에 판매를 촉진하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을 마케팅이라고 일컫는거죠. 이걸 잘 섞고 버무리는 것이 마케팅 믹스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배합하는게 소비자의 만족을 올리는 일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까진 식상하시죠?
하지만 지금 설명드린 이 모든 것은 여러분이 잘 알고 있다시피 광고를 마케팅의 한 요소라고 보는 ‘경영학 전공자’의 시점이라는 게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다른 시각에서 보는 마케팅은 어떨까요?
커뮤니케이션 전공자 라는 사람들이 있답니다. 이런 전공이 있는지 처음알았네요.
한글로 치면 의사소통 전공자쯤 되겠는데, 이런것도 전공하나 싶지만 요새는 옆에 사람하고도 동문서답하는 일이 종종 있는거보면 꼭 필요한 전공이지 싶습니다.
여튼 이 사람들은 광고를 커뮤니케이션으로 보고 있는데요.
주요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마케팅이 커뮤니케이션이요, 커뮤니케이션이 마케팅이다’ 라고 합니다.
송신자 기획자가 아이디어로 광고로 만들어 수신자 고객에게 보냅니다.
받은 고객은 메시지를 해독하고 반응을 만들어 피드백을 보냅니다
이러한 것들이 연속성을 지니게 되는데, 여기서 일종의 잡음이 발생합니다.
잡음이라함은 이러한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하는 것으로, 인쇄가 잘못되어 읽을수 없다던가. 옆 경쟁사가 훼방을 놓는 등을 말합니다.
어쨌거나 이처럼 어떠한 매체를 사용하던간에 광고주가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의 활동 자체가 전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어느쪽이 맞는걸까요?
놀랍게도 두 개념은 상호 배제적인 개념이 아닙니다.
어떠한 메시지든 간에 모든 메시지의 전달과정은 명백히 커뮤니케이션 현상이며
단순한 판매만이 아니라 필요를 충족시키는 모든 행위를 마케팅으로 봅니다.
따라서 두가지가 불가분의 관계이니 이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라고 칭하는 까닭이 여기서 나온 것이죠.
그럼 이런 추상적인 개념들 속에서 진짜 광고라고 불리는 것들이 갖춰야하는 조건은 뭐가 있을까요?
첫째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비자와 접촉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인 커뮤니케이션, 즉 1대1 영업상담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둘째는 광고비의 사용 유무입니다. 대부분의 광고는 광고비가 사용됩니다. 공익광고는 광고비가 지불되지 않지만 이는 공공광고라고 따로 표시합니다.
셋째는 송신자를 밝히는 것입니다. 어느 브랜드에서 보냈는지 알리지 않으면 광고가 아니죠. 그렇기 때문에 대자보를 광고라 보지 않는다고 합니다. 물론 현대에는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해 일부러 광고주를 밝히지 않는 티저 광고가 있습니다.
넷째는 상품 판매를 촉진 시킴에 있어 유형, 무형의 자원이 상관없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비누, 샴푸 같은 제품은 물론 미용 서비스 같은 것이 이에 포함됩니다.
다섯째는 설득적인 속성을 지녔다는 것입니다. 상품이나 서비스 혹은 아이디어를 선호하거나 선택하도록 만드는 것이죠. 여기에 관련된 스킬들이 이 카페에 숨겨져 있다고 보여지네요.
여기까지가 우리가 막연히 알고 있던 광고의 정의에 대해 나름 축약을 해봤습니다.
다음 편은 광고의 종류로 이어갈게요.
Great article! I appreciate the clear and insightful perspective you’ve shared. It’s fascinating to see how this topic is developing. For those interested in diving deeper, I found an excellent resource that expands on these ideas: check it out here. Looking forward to hearing others’ thoughts and continuing the discussion!
This article was a real eye-opener! The author’s perspective on this topic is quite refreshing and thought-provoking. I’m curious to see how others feel about the points made here. What are your thoughts?
The insights in this article are very valuable. The author’s approach to the topic was engaging and informative. I’m curious to hear different perspectives on this. What do you think?